≪일상의 시: 페드루 코스타 × 안토니우 헤이스 - 마르가리다 코르데이우≫
{poemas quotidianos: Pedro Costa × António Reis - Margarida Cordeiro}
KU시네마테크와 로트링겐이 공동 주관-주최하여 세 편의 위대한 포르투갈 민족지극영화(Ethnofiction)를 상영합니다. 상영 관련 정보는 아래와 같습니다.
• 4월 26일 토요일 오후 7시
〈반다의 방〉(In Vanda’s Room, 2000)
• 4월 27일 일요일 오후 2시
〈트라스-우스-몽트스〉(Trás-os-Montes, 1976)
• 4월 27일 일요일 오후 4시 30분
〈아나〉(Ana, 1982) + 유운성 평론가 시네토크
* 헤이스-코르데이우의 작품들이 디지털 복원된 후, 국내 최초 상영입니다.
관련 텍스트 모음
(1) 카이에 뒤 시네마 × 안토니우 헤이스: 트라스-우스-몽트스 인터뷰
(2) 에드 멕케리 × 페드루 코스타: 페드루 코스타가 기억하는 안토니우 헤이스
(3) 세르주 다네: 법 저 멀리서
(4) 세르주 다네: 세계의 끝 한가운데서
{poemas quotidianos: Pedro Costa × António Reis - Margarida Cordeiro}
KU시네마테크와 로트링겐이 공동 주관-주최하여 세 편의 위대한 포르투갈 민족지극영화(Ethnofiction)를 상영합니다. 상영 관련 정보는 아래와 같습니다.
• 4월 26일 토요일 오후 7시
〈반다의 방〉(In Vanda’s Room, 2000)
• 4월 27일 일요일 오후 2시
〈트라스-우스-몽트스〉(Trás-os-Montes, 1976)
• 4월 27일 일요일 오후 4시 30분
〈아나〉(Ana, 1982) + 유운성 평론가 시네토크
* 헤이스-코르데이우의 작품들이 디지털 복원된 후, 국내 최초 상영입니다.
관련 텍스트 모음
(1) 카이에 뒤 시네마 × 안토니우 헤이스: 트라스-우스-몽트스 인터뷰
(2) 에드 멕케리 × 페드루 코스타: 페드루 코스타가 기억하는 안토니우 헤이스
(3) 세르주 다네: 법 저 멀리서
(4) 세르주 다네: 세계의 끝 한가운데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