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Lothringen Screening Series is dedicated to presenting:
(1) Films and filmmakers of major historical importance that have had little or no exposure in Korea;
(2) Recently restored works that have not yet been screened domestically;
(3) Experimental films, including those in the field of expanded cinema;
(4) Works that occupy the grey area between documentary and experimental film—films that reveal the world through a continuum of images rather than linguistic narration;
(5) Contemporary, independently produced films made outside the framework of the industry.
Lothringen’s curatorial practice seeks to foster a wide and reflective experience, accumulating a collective memory of cinema’s possibilities. The collective emphasizes the creative process of connecting seemingly distant works within a single program, regarding curation itself as an act of artistic expression. Lothringen believes in the pedagogical power of cinematic encounters—journeys that arrive at one film through another.
The Screening Series is curated and organized primarily by Park Kyujae and Il-hwan, with Jang Chul-woong contributing extensively to event coordination and technical supervision. In April, Lothringen presented films by António Reis, Margarida Cordeiro, and Pedro Costa. In June, in collaboration with the Embassy of the Netherlands, the collective showcased works by Frans van de Staak and Johan van der Keuken. In August, it held a 16mm screening of Peter Hutton’s works alongside a newly restored film by Marguerite Duras.
Alongside its regular series, Lothringen also organizes special programs in collaboration with guest curators and external collectives. In September, it co-presented a selection of Stan Brakhage’s 1980s films with Joshua Minsoo Kim, and in October, it hosted a film performance series in collaboration with Space Cell.
The ABBFF Byeongyeong Film Festival, held in 2024 at the historic site in Gangjin, Jeollanam-do, is an outdoor event that begins at sunset amid the open fields of the ruins. The festival primarily screened contemporary experimental and non-narrative films, alongside works by Jean-Marie Straub & Danièle Huillet, Jerome Hiler, Rose Lowder, and Lee Jangwook. Films by Il-hwan, Han Chae Yeon, Park Kyujae, Jang Chul-woong, and Jiyong In—members of Lothringen—were also presented.
‘로트링겐(Lothringen_Seoul)’은 영화 상영을 기획하는 필름메이커들이 모여 구성된 서울 소재의 필름 콜렉티브다. 2021년 시네클럽의 형태로 출발한 로트링겐은 자신들의 영화를 자주상영 및 전시의 형태로 공개해왔다. 2024년도 ABBFF 병영영화제를 시작으로, 2025년부터는 KU시네마테크와 함께 스크리닝 시리즈를 전개하며 세계의 주요한 영화들을 국내에 소개하고 있다.
로트링겐 스크리닝 시리즈는 다음과 같은 영화들을 상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 영화사적으로 주요한 위치에 놓여있지만 한국에 소개될 기회가 없었던 영화/영화인. (2) 최근 복원되었지만 한국에서 아직 상영되지 않은 영화. (3) 확장 영화를 포함한 실험영화. (4) 다큐멘터리와 실험영화 사이의 회색 지대에 놓인 작업들. 언어적 서술 대신 이미지의 연속체로서 세계를 드러내는 영화. (5) 산업을 경유하지 않고 제작되는 동시대의, 개인에 의한 영화.
로트링겐의 프로그램은 관객들과 폭넓은 극장 경험을 공유하며 영화 언어의 가능성에 대한 기억을 축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어떠한 영화 한 편 혹은 감독 한 명을 소개하는 차원에서 멈추지 않고, 떨어져 있는 두 영화를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연결해내는 과정에서의 창의성을 중시한다. 프로그램도 일종의 예술 행위라 여기며, 한 영화를 경유해 다른 영화에 도달하는 여정의 교육적 힘을 신뢰한다. 스크리닝 시리즈의 프로그램은 박규재, 일환의 주도로 계획되고 있다. 행사 진행 및 검수 과정에서 장철웅이 적극적으로 기여하고 있다.
4월, 안토니우 헤이스와 마르가리다 코르데이우, 그리고 페드루 코스타의 영화들을 상영했다. 6월에는 네덜란드 대사관과의 협업 하에 프란스 판더스타크와 요한 판더르쾨컨의 영화들을 상영했다. 8월에는 피터 허튼의 16mm 필름 상영과 더불어 마르그리트 뒤라스의 최근 복원작을 상영했다.
게스트 프로그래머, 혹은 외부 단체와의 협력을 통해 특별 상영을 정규 시리즈와 병행하고 있다. 9월, Johsua Minsoo Kim과의 협업으로 스탠 브래키지의 80년대 작품들을 상영했다. 10월, Space Cell과의 협업을 통해 필름 퍼포먼스 연작 상연을 진행했다.
2024년 전라남도 강진군 병영성지에서 진행된 ABBFF 병영영화제는 유적지 들판 한가운데서, 해질녘에 맞춰 시작되는 실외 영화제다. 동시대 작가의 실험영화, 비내러티브 영화들을 주로 상영했으며, 장-마리 스트로브 & 다니엘 위예, 제롬 하일러, 로즈 라우더, 이장욱의 영화들 또한 상영되었다. 로트링겐의 일환, 한채연, 박규재, 장철웅, 인지용 작가의 영화가 상영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