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BFF 병영영화제≫
{ABBFF Byeongyeong Film Festival}
ABBFF Byeongyeong Film Festival is an annual outdoor film festival held at Jeolla Byeongyeongseong in Gangjin, South Korea. Set in the peaceful countryside of Byeongyeong, the festival offers a unique experience where films can be enjoyed against the backdrop of pastoral landscapes. It is particularly distinguished by its focus on unconventional and experimental films.
The film festival is hosted by OtOt Brewery, a brand of ABBF, a brewing company based in Gangjin. ABBFF aims to offer a multifaceted experience that goes beyond simply screening films, blending local traditions and culture, including regional beverages. The sunset over Byeongyeong, along with a diverse range of fresh and rare works across various genres, will provide audiences with an unforgettable experience.
The 1st edition of ABBFF Byeongyeong Film Festival will feature 16 filmmakers, including Jean-Marie Straub & Danièle Huillet, Jerome Hiler, Lee Jangwook and Rose Lowder. Over two days, a total of 21 films from 8 countries will be screened under the expansive skies of Byeongyeong, harmonizing with the timeless scenery of Byeongyeongseong.
ABBFF 병영영화제는 전라남도 강진군 병영면에서 해마다 열리는 야외 영화제입니다. 영화제는 한적한 시골인 병영면에서 이루어지며, 목가적인 풍광을 배경으로 영화를 감상할 수 있는 특별한 경험을 제공합니다. 비관습적이고 실험적인 영화들을 상영합니다.
영화제는 강진의 양조 회사 ABBF의 브랜드 OtOt술도가가 주최합니다. ABBFF는 단순히 영화 상영을 넘어, 지역의 술을 비롯한 전통과 문화가 어우러진 복합적인 경험을 선사하고자 합니다. 병영면의 해넘이와 다양한 장르의 참신하고도 희귀한 작품들이 관객 여러분에게 잊지 못할 시간을 선물해줄 것입니다.
제1회 ABBFF 병영영화제는 장마리 스트로브 & 다니엘 위예, 제롬 하일러, 이장욱, 로즈 라우더를 포함한 총 16명의 영화창작자들이 참여합니다. 이틀 동안 8개의 나라에서 제작된 총 21편의 영화들이 병영의 드넓은 하늘 아래, 병영성의 유구한 풍광과 융화되어 상영됩니다.
PROGRAM Α: Opening Films
2024 Oct 25 (Fri), 18:00
Program Note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woman is the most immediate reflection of all human relationships.” - Karl Marx
The film begins with the phrase, ‘Where does your hidden smile lie,’ which will become the title of Pedro Costa’s documentary recording the editing process of Sicilia! (1999), a film made by Danièle Huillet and Jean-Marie Straub, who lived and made films together for over 40 years. From Today Until Tomorrow is a film adaptation of an opera composed by Schönberg, which tells the story of “modern” married life. The opera is based on lyrics by Max Blonda, the pseudonym of Gertrud Kolisch, Schönberg’s partner. Imagine the filming site where the entire film was shot in sequence with synchronized sound on a three-walled stage set, where the Radio-Sinfonie-Orchester Frankfurt, led by Michael Gielen, and the crew, including cinematographer William Lubtchansky, move whenever the scene changes. In another film adaptation of Schönberg’s unfinished opera, Moses and Aaron (1974), for which Gielen also conducted the score, they filmed not on a set but outdoors in Egypt and Italy, using color film. In all their music films, including their first feature The Chronicle of Anna Magdalena Bach (1967), which recounted the lives of Anna Magdalena and her husband Johann Sebastian Bach in collaboration with Gustav Leonhardt, Huillet and Straub painstakingly adhered to shooting in sequence.
Meanwhile, Lothringen!, released together with From Today Until Tomorrow, is based on part of Maurice Barrès’ 1909 novel Colette Baudoche. Although Barrès hailed from Alsace-Lorraine, like Huillet and Straub, he was widely known as a nationalist, unlike the self-declared communists Huillet and Straub. The film opens with a long panning shot that shows the statue of Kaiser Wilhelm I overlooking the Rhine and Moselle Rivers, the battleground of the 1871 Battle of Sedan in Koblenz, the Resistance memorial, the iron mines of Metz, coveted by both Germany and France, and cemeteries – all landscapes filmed in Lorraine in June 1994. In this setting, Colette Baudoche, the character in Huillet and Straub’s film, says “No” to a German suitor, but her ‘present’ is not the late 19th century; it’s right after the European Parliament in Strasbourg, the capital of Alsace-Lorraine, declared the founding of the EU.
Along with these two films, the opening film Wind From Nowhere (2024) raises curiosity about how its floating camera and characters will inherit or reject the (ana)chronism and (a)topos of Huillet and Straub. (SHIN Eun-shil)
“남자와 여자의 관계는 모든 인간 관계를 반영하는 가장 즉각적인 관계다.”
-카를 마르크스
40년 넘게 함께 살며 함께 영화를 만든 다니엘 위예와 장마리 스트로브의 〈시칠리아!〉(1999) 편집 과정을 기록한 페드로 코스타의 다큐멘터리 표제가 될 문구, “당신의 숨겨진 미소는 어디에”라는 제사가 영화를 연다. 〈오늘부터 내일까지〉는 쇤베르크가 “현대” 부부 생활을 이야기하는 막스 블론다(쇤베르크의 반려자였던 게르트루트 콜리쉬의 필명)의 가사에 기초하여 작곡한 오페라를 영화화한 작품이다. 삼면 세트에서 철저히 순서대로 촬영하여 전편을 동시녹음으로 제작한 현장에서, 장면이 바뀔 때마다 미카엘 길렌의 프랑크푸르트 라디오 교향악단과 촬영감독 윌리암 뤼브샹스키를 비롯한 스태프들이 이동하는 모습을 상상해 보자. 다른 쇤베르크의 미완성 오페라를 영화로 옮기며 역시 길렌이 음악 감독을 맡았으나 세트가 아니라 이집트·이탈리아 야외에서 컬러 필름으로 찍었던 〈모세와 아론〉(1974), 구스타프 레온하르트와 협업하여 안나 막달레나와 그의 남편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삶을 복기한 첫 장편 〈안나 막달레나 바흐의 연대기〉(1967) 등 자신들의 모든 음악 영화에서, 위예와 스트로브는 엄청난 수고를 감수하며 순서 촬영을 고수했다.
한편 〈오늘부터 내일까지〉와 묶어 개봉한 〈로트링겐!〉은, 스트로브와 동향인 알자스로렌 지방 출신이지만 자타 공인 공산주의자였던 위예·스트로브와 달리 우익 민족주의 인사로 널리 알려진 모리스 바레즈의 소설 『콜레트 보도슈』(1909) 일부를 영화화한 작품이다. 긴 패닝으로 시작하는 영화는 라인과 모젤강을 굽어보는 프로이센 황제 빌헬름 1세의 동상, 1871년 세당 전투의 격전지 코블렌츠 전경, 레지스탕스 희생자 위령탑, 독일과 프랑스 모두 미련을 버리지 못했던 메츠의 철광, 묘지 등 1994년 6월의 로렌에서 촬영한 풍경을 보여준다. 이곳에서 독일인의 청혼에 “아니오”라고 말하는 위예·스트로브 영화 속 콜레트 보도슈의 ‘오늘’은 19세기 말이 아니라, 알자스로렌의 주도 스트라스부르에 설치된 유럽의회가 EU 출범을 공포한 직후였던 게다.
이 두 작품과 더불어 개막작으로 상영되는 〈기원 없는 바람〉(2024) 속 부유하는 카메라와 인물들이 위예와 스트로브의 (아나)크로니즘과 (아)토포스를 어떻게 계승하고 어찌 거부할지, 자못 궁금하다. (신은실)
Lothringen! 로트링겐!
Jean-Marie Straub & Danièle Huillet 장마리 스트로브 & 다니엘 위예
Germany, France | 1994 | Color | Sound | 35mm (digital projection) | 22’
Von heute auf morgen 오늘부터 내일까지
Jean-Marie Straub & Danièle Huillet 장마리 스트로브 & 다니엘 위예
Germany, France | 1997 | B&W | Sound | 35mm (digital projection) | 63’
Wind from Nowhere 기원 없는 바람
Il-hwan & Han Chae Yeon 일환 & 한채연
South Korea | 2024 | Color + B&W | Sound | Digital | 27’
PROGRAM Φ: Rayo Verde
2024 Oct 25 (Fri), 20:00
Program Note
Frame of sustained breathing. Inside and outside. The light on the tree leaves, the green of the forest; familiar corners, empty rooms, full of memories. Images that inhale and exhale. (Francisco Rojas)
끊임없는 호흡의 프레임. 안과 밖. 나뭇잎에 비추는 빛, 숲의 녹색 빛; 익숙한 구석, 텅 빈 방들, 추억으로 가득 찬 공간들. 숨을 들이쉬고 내쉬는 이미지. 숨을 들이쉬고 내쉬는 이미지들. (프란시스코 로하스)
The Breath 숨
Jang Minyong 장민용
South Korea | 2007 | Color | Silent | 16mm (digital projection) | 10’
Seasonal Concerns 계절에 따른 우려사항
Maximilien Luc Proctor 막시밀리앙 뤽 프록토르
Germany | 2024 | Color | Silent | 16mm (digital projection) | 3’
Gießen in die verlorene Form 사라지는 거푸집에 주조하기
Josef Graßl 요제프 그라슬
Germany | 2021 | Color | Sound | 16mm (digital projection) | 14’
Buseok 부석
Park Kyujae 박규재
South Korea | 2024 | B&W, Color | Silent | 16mm (digital projection) | 18’
PROGRAM Δ: The Waves
2024 Oct 25 (Fri), 20:50
Program Note
Infinite streams of light. Pictures washed by the water. Gestures answering to the movement of the waves on the ocean. The camera capturing brief flashes, like particles of color and contrast, composing a luminous nervous system. (Francisco Rojas)
무한한 빛의 흐름. 물에 씻긴 이미지들. 바다의 파도 움직임에 응답하는 몸짓. 카메라가 짧은 섬광을 포착하며, 색과 대비의 입자처럼, 빛나는 신경망을 구성한다. (프란시스코 로하스)
Fale 파도
Antoni Orlof 안토니 오를로프
Poland | 2023 | Color | Silent | Digital | 20’
bleared eyes of blue glass
Park Kyujae 박규재
South Korea | 2023 | B&W, Color | Silent | Digital | 9’
Océano de Cristal 유리의 바다
Francisco Rojas 프란시스코 로하스
Chile | 2023 | Color | Silent | Digital | 26’
Agua del Arroyo que Tiembla 흔들리는 개울의 물
Javiera Cisterna 하비에라 시스테르나
Chile | 2021 | Color | Silent | Digital | 11’
PROGRAM Σ: Focus Lee Jangwook
2024 Oct 26 (Sat), 18:00
Program Note
Lee Jangwook is a filmmaker who reconstructs poetic images from personal memories and everyday scenes through the medium of film. He is the longest continuously working experimental filmmaker using celluloid film in South Korea. Despite his wide range of works, Lee remains a semi-reclusive figure, rarely showcasing his works to the public. ‘Focus Lee Jangwook’ presents his single-screen works from the 2010s that have not been widely screened, including Lazimpat and Landscape in the Afternoon, both of which have been re-edited for the 2024 ABBFF Byeongyeong Film Festival. (Park Kyujae)
이장욱은 개인적 기억과 일상적 장면들을 필름이라는 매체를 통하여 시적인 이미지로 재구성하는 필름메이커이며, 대한민국에서 지속적으로 셀룰로이드 필름 실험영화를 가장 오래 제작해 온 사람이다. 이장욱은 그의 방대한 필모그래피에 비해 세상에 자신의 작품들을 거의 드러내지 않는 인물이지만 ‘포커스 이장욱’에서는 2024년 ABBFF 병영영화제를 위해 재편집된 〈라짐파트〉와 〈오후 풍경〉을 비롯한 그동안 영화제에서 잘 상영되지 않았던 그의 2010년대 싱글 스크린 작업들을 상영한다. (박규재)
Lazimpat 라짐파트
Lee Jangwook 이장욱
South Korea, Nepal | 2015 (2024 re-edt) | Color | Sound | 16mm (digital projection) | 16’
Landscape in the Afternoon 오후 풍경
Lee Jangwook 이장욱
South Korea | 2013 (2024 re-edt) | B&W | Silent | 16mm (digital projection) | 10’
Autumn Film 가을 영화
Lee Jangwook 이장욱
South Korea | 2013 | B&W | Silent | 16mm (digital projection) | 10’
Sunday Seoul 선데이 서울
Lee Jangwook 이장욱
South Korea | 2015 | Color | Sound | Digital | 12’
PROGRAM Ψ: Silence, Please
2024 Oct 26 (Sat), 19:20
Program Note
The more informed I became with aesthetics of sound, the less I began to feel any need for an audio accompaniment to the visuals I was making… The more silently-oriented my creative philosophies have become, the more inspired-by-music have my photographic aesthetics and my actual editing orders become, both engendering a coming-into-being of the physi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seeing and hearing in the making of a work of art in film. (Stan Brakhage)
소리의 미학에 대한 이해가 깊어질수록, 내가 만들어내는 시각적 요소에 동반되는 소리에 대한 필요성을 점점 덜 느끼게 되었다. 나의 창작 철학이 더욱 비음향적이 되어 갈수록, 내 사진적 미학과 실제 편집 순서들은 음악에서 영감을 받게 되었고, 이는 필름 작품 제작에서 시각과 청각의 생리적 관계가 형성되는 계기가 되었다. (스탠 브래키지)
Bouquets 31-40 부케 31-40
Rose Lowder 로즈 라우더
France | 2014-2022 | Color | Silent | 16mm (digital projection) | 11’
ipsa (I watched the Moon around the House) 입사 (나는 달이 집 주변을 도는 것을 지켜보았다)
Blanca García 블랑카 가르시아
Spain, United Kingdom | 2022 | Color | Silent | Super 8 (digital projection) | 15’
Meihōdō 메이호도
Jorge Suárez-Quiñones Rivas 호르헤 수아레스키뇨네스 리바스
Spain, Japan | 2020 | Color | Silent | Super 8 (digital projection) | 11’
Lord
Jang Chul-woong 장철웅
South Korea | 2024 | Color | Silent | Digital | 14’
PROGRAM Ω: Closing Films
2024 Oct 26 (Sat), 20:20
Program Note
겹겹이 쌓여 발광하는 이미지들. 색은 또 다른 색을 머금어 변질되어가고, 그 과정은 영화의 시간을 채워나간다. 제롬 하일러는 작가의 동물적 감각을 경유하여 천체와 세포의 형상을 오가며, 인지용은 본인이 구상한 문학적 세계를 성분들의 비선형적 배열을 통해 유랑한다. (일환)
Images layered upon each other emit light. Colors absorb other colors, transforming and distorting, while this process fills the passage of time in the film. Through the filmmaker’s animalistic sensibility, Jerome Hiler navigates between the forms of nebulas and cells, while In Jiyong wanders through a literary world via the nonlinear arrangement of its elements. (Il-hwan)
The Report on a Sailor 한 선원에 대한 보고
Jiyong In 인지용
South Korea | 2024 | B&W, Color | Sound | Digital | 17’
Ruling Star 군림하는 별
Jerome Hiler 제롬 하일러
United States | 2019 | Color | Silent | 16mm (digital projection) | 22’
HOST: ABBF, OTOT! 술도가
Partners: 강진군 도시재생지원센터, Light Cone, Belva Film, Ultra Dogme, La Región Central Cine Club, Space Cell
Organized By Lothringen
{ABBFF Byeongyeong Film Festival}
ABBFF Byeongyeong Film Festival is an annual outdoor film festival held at Jeolla Byeongyeongseong in Gangjin, South Korea. Set in the peaceful countryside of Byeongyeong, the festival offers a unique experience where films can be enjoyed against the backdrop of pastoral landscapes. It is particularly distinguished by its focus on unconventional and experimental films.
The film festival is hosted by OtOt Brewery, a brand of ABBF, a brewing company based in Gangjin. ABBFF aims to offer a multifaceted experience that goes beyond simply screening films, blending local traditions and culture, including regional beverages. The sunset over Byeongyeong, along with a diverse range of fresh and rare works across various genres, will provide audiences with an unforgettable experience.
The 1st edition of ABBFF Byeongyeong Film Festival will feature 16 filmmakers, including Jean-Marie Straub & Danièle Huillet, Jerome Hiler, Lee Jangwook and Rose Lowder. Over two days, a total of 21 films from 8 countries will be screened under the expansive skies of Byeongyeong, harmonizing with the timeless scenery of Byeongyeongseong.
ABBFF 병영영화제는 전라남도 강진군 병영면에서 해마다 열리는 야외 영화제입니다. 영화제는 한적한 시골인 병영면에서 이루어지며, 목가적인 풍광을 배경으로 영화를 감상할 수 있는 특별한 경험을 제공합니다. 비관습적이고 실험적인 영화들을 상영합니다.
영화제는 강진의 양조 회사 ABBF의 브랜드 OtOt술도가가 주최합니다. ABBFF는 단순히 영화 상영을 넘어, 지역의 술을 비롯한 전통과 문화가 어우러진 복합적인 경험을 선사하고자 합니다. 병영면의 해넘이와 다양한 장르의 참신하고도 희귀한 작품들이 관객 여러분에게 잊지 못할 시간을 선물해줄 것입니다.
제1회 ABBFF 병영영화제는 장마리 스트로브 & 다니엘 위예, 제롬 하일러, 이장욱, 로즈 라우더를 포함한 총 16명의 영화창작자들이 참여합니다. 이틀 동안 8개의 나라에서 제작된 총 21편의 영화들이 병영의 드넓은 하늘 아래, 병영성의 유구한 풍광과 융화되어 상영됩니다.
PROGRAM Α: Opening Films
2024 Oct 25 (Fri), 18:00
Program Note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woman is the most immediate reflection of all human relationships.” - Karl Marx
The film begins with the phrase, ‘Where does your hidden smile lie,’ which will become the title of Pedro Costa’s documentary recording the editing process of Sicilia! (1999), a film made by Danièle Huillet and Jean-Marie Straub, who lived and made films together for over 40 years. From Today Until Tomorrow is a film adaptation of an opera composed by Schönberg, which tells the story of “modern” married life. The opera is based on lyrics by Max Blonda, the pseudonym of Gertrud Kolisch, Schönberg’s partner. Imagine the filming site where the entire film was shot in sequence with synchronized sound on a three-walled stage set, where the Radio-Sinfonie-Orchester Frankfurt, led by Michael Gielen, and the crew, including cinematographer William Lubtchansky, move whenever the scene changes. In another film adaptation of Schönberg’s unfinished opera, Moses and Aaron (1974), for which Gielen also conducted the score, they filmed not on a set but outdoors in Egypt and Italy, using color film. In all their music films, including their first feature The Chronicle of Anna Magdalena Bach (1967), which recounted the lives of Anna Magdalena and her husband Johann Sebastian Bach in collaboration with Gustav Leonhardt, Huillet and Straub painstakingly adhered to shooting in sequence.
Meanwhile, Lothringen!, released together with From Today Until Tomorrow, is based on part of Maurice Barrès’ 1909 novel Colette Baudoche. Although Barrès hailed from Alsace-Lorraine, like Huillet and Straub, he was widely known as a nationalist, unlike the self-declared communists Huillet and Straub. The film opens with a long panning shot that shows the statue of Kaiser Wilhelm I overlooking the Rhine and Moselle Rivers, the battleground of the 1871 Battle of Sedan in Koblenz, the Resistance memorial, the iron mines of Metz, coveted by both Germany and France, and cemeteries – all landscapes filmed in Lorraine in June 1994. In this setting, Colette Baudoche, the character in Huillet and Straub’s film, says “No” to a German suitor, but her ‘present’ is not the late 19th century; it’s right after the European Parliament in Strasbourg, the capital of Alsace-Lorraine, declared the founding of the EU.
Along with these two films, the opening film Wind From Nowhere (2024) raises curiosity about how its floating camera and characters will inherit or reject the (ana)chronism and (a)topos of Huillet and Straub. (SHIN Eun-shil)
“남자와 여자의 관계는 모든 인간 관계를 반영하는 가장 즉각적인 관계다.”
-카를 마르크스
40년 넘게 함께 살며 함께 영화를 만든 다니엘 위예와 장마리 스트로브의 〈시칠리아!〉(1999) 편집 과정을 기록한 페드로 코스타의 다큐멘터리 표제가 될 문구, “당신의 숨겨진 미소는 어디에”라는 제사가 영화를 연다. 〈오늘부터 내일까지〉는 쇤베르크가 “현대” 부부 생활을 이야기하는 막스 블론다(쇤베르크의 반려자였던 게르트루트 콜리쉬의 필명)의 가사에 기초하여 작곡한 오페라를 영화화한 작품이다. 삼면 세트에서 철저히 순서대로 촬영하여 전편을 동시녹음으로 제작한 현장에서, 장면이 바뀔 때마다 미카엘 길렌의 프랑크푸르트 라디오 교향악단과 촬영감독 윌리암 뤼브샹스키를 비롯한 스태프들이 이동하는 모습을 상상해 보자. 다른 쇤베르크의 미완성 오페라를 영화로 옮기며 역시 길렌이 음악 감독을 맡았으나 세트가 아니라 이집트·이탈리아 야외에서 컬러 필름으로 찍었던 〈모세와 아론〉(1974), 구스타프 레온하르트와 협업하여 안나 막달레나와 그의 남편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삶을 복기한 첫 장편 〈안나 막달레나 바흐의 연대기〉(1967) 등 자신들의 모든 음악 영화에서, 위예와 스트로브는 엄청난 수고를 감수하며 순서 촬영을 고수했다.
한편 〈오늘부터 내일까지〉와 묶어 개봉한 〈로트링겐!〉은, 스트로브와 동향인 알자스로렌 지방 출신이지만 자타 공인 공산주의자였던 위예·스트로브와 달리 우익 민족주의 인사로 널리 알려진 모리스 바레즈의 소설 『콜레트 보도슈』(1909) 일부를 영화화한 작품이다. 긴 패닝으로 시작하는 영화는 라인과 모젤강을 굽어보는 프로이센 황제 빌헬름 1세의 동상, 1871년 세당 전투의 격전지 코블렌츠 전경, 레지스탕스 희생자 위령탑, 독일과 프랑스 모두 미련을 버리지 못했던 메츠의 철광, 묘지 등 1994년 6월의 로렌에서 촬영한 풍경을 보여준다. 이곳에서 독일인의 청혼에 “아니오”라고 말하는 위예·스트로브 영화 속 콜레트 보도슈의 ‘오늘’은 19세기 말이 아니라, 알자스로렌의 주도 스트라스부르에 설치된 유럽의회가 EU 출범을 공포한 직후였던 게다.
이 두 작품과 더불어 개막작으로 상영되는 〈기원 없는 바람〉(2024) 속 부유하는 카메라와 인물들이 위예와 스트로브의 (아나)크로니즘과 (아)토포스를 어떻게 계승하고 어찌 거부할지, 자못 궁금하다. (신은실)
Lothringen! 로트링겐!
Jean-Marie Straub & Danièle Huillet 장마리 스트로브 & 다니엘 위예
Germany, France | 1994 | Color | Sound | 35mm (digital projection) | 22’
Von heute auf morgen 오늘부터 내일까지
Jean-Marie Straub & Danièle Huillet 장마리 스트로브 & 다니엘 위예
Germany, France | 1997 | B&W | Sound | 35mm (digital projection) | 63’
Wind from Nowhere 기원 없는 바람
Il-hwan & Han Chae Yeon 일환 & 한채연
South Korea | 2024 | Color + B&W | Sound | Digital | 27’
PROGRAM Φ: Rayo Verde
2024 Oct 25 (Fri), 20:00
Program Note
Frame of sustained breathing. Inside and outside. The light on the tree leaves, the green of the forest; familiar corners, empty rooms, full of memories. Images that inhale and exhale. (Francisco Rojas)
끊임없는 호흡의 프레임. 안과 밖. 나뭇잎에 비추는 빛, 숲의 녹색 빛; 익숙한 구석, 텅 빈 방들, 추억으로 가득 찬 공간들. 숨을 들이쉬고 내쉬는 이미지. 숨을 들이쉬고 내쉬는 이미지들. (프란시스코 로하스)
The Breath 숨
Jang Minyong 장민용
South Korea | 2007 | Color | Silent | 16mm (digital projection) | 10’
Seasonal Concerns 계절에 따른 우려사항
Maximilien Luc Proctor 막시밀리앙 뤽 프록토르
Germany | 2024 | Color | Silent | 16mm (digital projection) | 3’
Gießen in die verlorene Form 사라지는 거푸집에 주조하기
Josef Graßl 요제프 그라슬
Germany | 2021 | Color | Sound | 16mm (digital projection) | 14’
Buseok 부석
Park Kyujae 박규재
South Korea | 2024 | B&W, Color | Silent | 16mm (digital projection) | 18’
PROGRAM Δ: The Waves
2024 Oct 25 (Fri), 20:50
Program Note
Infinite streams of light. Pictures washed by the water. Gestures answering to the movement of the waves on the ocean. The camera capturing brief flashes, like particles of color and contrast, composing a luminous nervous system. (Francisco Rojas)
무한한 빛의 흐름. 물에 씻긴 이미지들. 바다의 파도 움직임에 응답하는 몸짓. 카메라가 짧은 섬광을 포착하며, 색과 대비의 입자처럼, 빛나는 신경망을 구성한다. (프란시스코 로하스)
Fale 파도
Antoni Orlof 안토니 오를로프
Poland | 2023 | Color | Silent | Digital | 20’
bleared eyes of blue glass
Park Kyujae 박규재
South Korea | 2023 | B&W, Color | Silent | Digital | 9’
Océano de Cristal 유리의 바다
Francisco Rojas 프란시스코 로하스
Chile | 2023 | Color | Silent | Digital | 26’
Agua del Arroyo que Tiembla 흔들리는 개울의 물
Javiera Cisterna 하비에라 시스테르나
Chile | 2021 | Color | Silent | Digital | 11’
PROGRAM Σ: Focus Lee Jangwook
2024 Oct 26 (Sat), 18:00
Program Note
Lee Jangwook is a filmmaker who reconstructs poetic images from personal memories and everyday scenes through the medium of film. He is the longest continuously working experimental filmmaker using celluloid film in South Korea. Despite his wide range of works, Lee remains a semi-reclusive figure, rarely showcasing his works to the public. ‘Focus Lee Jangwook’ presents his single-screen works from the 2010s that have not been widely screened, including Lazimpat and Landscape in the Afternoon, both of which have been re-edited for the 2024 ABBFF Byeongyeong Film Festival. (Park Kyujae)
이장욱은 개인적 기억과 일상적 장면들을 필름이라는 매체를 통하여 시적인 이미지로 재구성하는 필름메이커이며, 대한민국에서 지속적으로 셀룰로이드 필름 실험영화를 가장 오래 제작해 온 사람이다. 이장욱은 그의 방대한 필모그래피에 비해 세상에 자신의 작품들을 거의 드러내지 않는 인물이지만 ‘포커스 이장욱’에서는 2024년 ABBFF 병영영화제를 위해 재편집된 〈라짐파트〉와 〈오후 풍경〉을 비롯한 그동안 영화제에서 잘 상영되지 않았던 그의 2010년대 싱글 스크린 작업들을 상영한다. (박규재)
Lazimpat 라짐파트
Lee Jangwook 이장욱
South Korea, Nepal | 2015 (2024 re-edt) | Color | Sound | 16mm (digital projection) | 16’
Landscape in the Afternoon 오후 풍경
Lee Jangwook 이장욱
South Korea | 2013 (2024 re-edt) | B&W | Silent | 16mm (digital projection) | 10’
Autumn Film 가을 영화
Lee Jangwook 이장욱
South Korea | 2013 | B&W | Silent | 16mm (digital projection) | 10’
Sunday Seoul 선데이 서울
Lee Jangwook 이장욱
South Korea | 2015 | Color | Sound | Digital | 12’
PROGRAM Ψ: Silence, Please
2024 Oct 26 (Sat), 19:20
Program Note
The more informed I became with aesthetics of sound, the less I began to feel any need for an audio accompaniment to the visuals I was making… The more silently-oriented my creative philosophies have become, the more inspired-by-music have my photographic aesthetics and my actual editing orders become, both engendering a coming-into-being of the physi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seeing and hearing in the making of a work of art in film. (Stan Brakhage)
소리의 미학에 대한 이해가 깊어질수록, 내가 만들어내는 시각적 요소에 동반되는 소리에 대한 필요성을 점점 덜 느끼게 되었다. 나의 창작 철학이 더욱 비음향적이 되어 갈수록, 내 사진적 미학과 실제 편집 순서들은 음악에서 영감을 받게 되었고, 이는 필름 작품 제작에서 시각과 청각의 생리적 관계가 형성되는 계기가 되었다. (스탠 브래키지)
Bouquets 31-40 부케 31-40
Rose Lowder 로즈 라우더
France | 2014-2022 | Color | Silent | 16mm (digital projection) | 11’
ipsa (I watched the Moon around the House) 입사 (나는 달이 집 주변을 도는 것을 지켜보았다)
Blanca García 블랑카 가르시아
Spain, United Kingdom | 2022 | Color | Silent | Super 8 (digital projection) | 15’
Meihōdō 메이호도
Jorge Suárez-Quiñones Rivas 호르헤 수아레스키뇨네스 리바스
Spain, Japan | 2020 | Color | Silent | Super 8 (digital projection) | 11’
Lord
Jang Chul-woong 장철웅
South Korea | 2024 | Color | Silent | Digital | 14’
PROGRAM Ω: Closing Films
2024 Oct 26 (Sat), 20:20
Program Note
겹겹이 쌓여 발광하는 이미지들. 색은 또 다른 색을 머금어 변질되어가고, 그 과정은 영화의 시간을 채워나간다. 제롬 하일러는 작가의 동물적 감각을 경유하여 천체와 세포의 형상을 오가며, 인지용은 본인이 구상한 문학적 세계를 성분들의 비선형적 배열을 통해 유랑한다. (일환)
Images layered upon each other emit light. Colors absorb other colors, transforming and distorting, while this process fills the passage of time in the film. Through the filmmaker’s animalistic sensibility, Jerome Hiler navigates between the forms of nebulas and cells, while In Jiyong wanders through a literary world via the nonlinear arrangement of its elements. (Il-hwan)
The Report on a Sailor 한 선원에 대한 보고
Jiyong In 인지용
South Korea | 2024 | B&W, Color | Sound | Digital | 17’
Ruling Star 군림하는 별
Jerome Hiler 제롬 하일러
United States | 2019 | Color | Silent | 16mm (digital projection) | 22’
HOST: ABBF, OTOT! 술도가
Partners: 강진군 도시재생지원센터, Light Cone, Belva Film, Ultra Dogme, La Región Central Cine Club, Space Cell
Organized By Lothringen